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한국주식

추석 연휴 전 3거래일 이슈 체크(항저우아시안게임, 반도체법 가드레일,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by 창전로의 영웅 2023. 9. 24.
반응형

 추석 연휴를 앞두고 3거래일의 시간이 남았다. 현재까지 9월 손익은 올해 가장 큰 조정을 받은 4월(-5.92%)에 버금가는 정도인 -5.82%를 기록하고 있는데, 차주 3거래일 내 이슈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목차

1. 항저우 아시안게임

2. 반도체법 가드레일 확정

3.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1. 항저우 아시안게임

  지난 9월 23일 중국 항저우에서 제 19회 아시안게임이 개막되었다. 2023년에 열리지만 실제 대회는 2022년에 열려야 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1년 연기되어 개최되었기 때문에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today/article/6527874_36207.html

 

한덕수·시진핑 면담‥"뗄 수 없는 동반자"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식에 참석하기 위해 어제 중국을 방문한 한덕수 국무총리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났습니다. 한중 관계 등 현안 문제와 한중 정상회담에 대한 의견...

imnews.imbc.com

 중국에서 아시안게임이 개최되자, 중국은 안방외교에 나섰다. 애초에 기대가 없었던 중국으로부터 한덕수 총리와 시진핑 국가주석의 만남은 한국과 중국의 외교 복원의 실마리가 될 수도 있다.

시진핑 주석은 중국과 한국은 이사할 수 없는 가까운 이웃이자, 뗄 수 없는 파트너라고 강조하며, 중국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시대에 발맞춰 발전시키기 위해 한국과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중 관계 복원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한다면, 콘텐츠 및 문화 산업에서의 양 국간 교류 증가로 게임 판호 발급 확대, 중국 유통사를 통한 드라마 배급 확대, K팝 가수들의 중국 공연 증가 등 해당 업종의 긍정적인 변화가 생길 수 있으나, 배터리 및 반도체 관련 미국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있는 한국 입장에서는 어느 정도 중국의 요구를 들어줄 수 있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어 보인다.


2. 반도체법 가드레일 확정

 미국 정부의 반도체법(Chips Act) 내 가드레일(안전장치) 최종 규정을 주말 사이 공개하였다. 가드레일은 미국 반도체법에 따라 보조금을 받은 기업에 대해 중국 등 우려 국가에서 허용치 이상으로 반도체 생산능력을 확장할 경우, 보조금 전액을 반환해야 한다는 내용이 주요 골자이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613000015

 

삼성전자·SK하이닉스 '숨통'…美, 중국 반도체장비 반입규제 유예 예고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첨단 반도체 장비의 중국 반입 규제를 유예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반도체 장비 반입이 오는 10월

newspim.com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 내 공장에 대한 반도체 장비 반입을 매 1년씩 미국으로부터 유예 결정을 받아가며 통제를 받았었다. 이 때문에 가드레일의 확정이 앞으로 있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추가 유예기간 연장과 중국 공장에 반입할 수 있는 특정 장비의 지정방안 등을 놓고 협상 중인 가운데 일어난 일이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국내 기업 중국 내 반도체 공장 현황

 

https://n.news.naver.com/article/417/0000950809?sid=104 

 

美 반도체법 가드레일 확정… 보조금 받으면 10년간 中 증산 5% 제한

미국 정부가 자국 반도체법의 보조금 혜택을 받는 기업의 중국 내 생산능력을 5% 이상 확장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의 '가드레일'(안전장치) 규정을 확정했다. 미 상무부는 22일(현지시간) 이 같

n.news.naver.com

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미국 반도체법 가드레일 조항 세부 규정안

 물론 업계 내 실질적인 확장 기준을 5%가 아닌 10%로 늘려달라고 요청했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참고자료를 통해 업계의 일반적인 경영 환경을 반영하고 국가 안보 우려가 없는 정상적인 비즈니스 활동은 보장하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언급하였다.

 

 우선은 반도체법 가드레일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된 점,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중국 반도체 장비 추가 유예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 증가한다는 점, 최근 화웨이 신형 스마트폰 MATE 60 내 SK하이닉스의 DRAM이 발견되었지만 추가적인 제재가 없었던 점은 다소 안도가 되는 부분이다.

3.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우려

 미국 정부의 회계연도는 9월말 기준이다, 따라서 2023년 10월부터가 새로운 회계연도를 시작하는 시점이나 현재까지 차기 회계연도에 대한 예산안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셧다운을 피하기 위해서는 미국 의회가 오는 30일까지 12개로 구성된 연방 세출법을 통과시켜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상, 하원에서 모두 가결된 세출 법안은 하나도 없다. 이렇게 되면 국방과 치안 등 필수 기능을 제외한 연방 정부의 대부분의 업무가 중단되게 된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2099 

 

CNBC "美 정부 셧다운 몇 주간 지속될 수도" - 연합인포맥스

공화당 하원의원 강경 우파의 강한 삭감 요구에 따라 연방정부 지출을 놓고 대립이 심화하면서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임박했다고 23일(현지시간) CNBC가 보도했다.CNBC는 "의회가 민주당이 장

news.einfomax.co.kr

골드만삭스는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지속될 경우, 매주 경제성장률이 0.2%씩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백악관은 이미 연방정부와 관련기관에 셧다운 비상계획을 준비하라고 지시하였다. 현재 전미 자동차 노조의 파업도 지속되면서 미국의 4분기 경제성장률이 1% 포인트 이상 감소할 수도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은 과거에도 여러 차례 존재하였고, 예산안과 더불어 매 해 지속적인 노이즈를 불러일으키는 존재이다. 우리의 추석기간 내에 셧다운 일자가 다가오는 점은 장이 열리지 않는 국내 증시 입장에서는 추석 전 리스크 회피 물량을 견뎌야 하는 일이 되어버릴 수도 있다. 

※ 위 게시글에서 언급한 종목들에 대해서 매수 또는 매도를 권유하거나 추전 하지 않음을 말씀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