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AI와 로봇 업종에 투자하는 ETF를 소개하고자 한다. 일본 시장 내에는 2638(Global X Japan Robotics & AI ETF)과 미국 시장 내에는 BOTZ(Global X Robotics & AI ETF)가 상장되어 있는데 각 시장의 특성에 맞춰 투자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다.
1. AI와 로봇 업종에 주목
AI 산업은 작년 말 Chat GPT의 등장 이후로 AI 산업의 수익화 작업이 가속화되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AI 산업의 시장 규모는 향후 10년 동안 20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활용 범위가 늘어날수록 이러한 전망들은 더욱 상향 조정될 전망이다.
AI는 관련 비즈니스를 직접 다루고 있는 테크 기업들뿐만 아니라 유통, 자동차, 의료, 우주항공 등 다양한 분야로 영향력을 확장 중에 있다.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분야인 만큼, ETF 시장에서도 다양한 테마 ETF들이 상장되고 있다.
2. 일본 주식: 2638
일본 증시에 상장되어있는 AI 및 로봇 관련 ETF는 2638이다. 글로벌 X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계열사로 동 ETF의 운용사이다. 투자 종목은 산업용 로봇에서 높은 글로벌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일본의 로봇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업에 투자하며 최대 40종목(현재는 26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종지수는 INDXX Japan Robotics & AI Index다.
2638은 최근 2023년 7월에 올해 최고점을 찍은 이후에 10월 말까지 하락하다가 11월에 반등을 진행한 모습이다. 상장일은 2021년 6월 21일이다. 보수는 연간 0.649%, 2023.10.31.자 기준 순자산 11.8억엔을 기록하고 있다. 리밸런싱은 매년 2월에 진행한다.
가장 중요한 구성 종목 상위 10종목은 아래와 같다.
종목 | 티커 | 비율 | 종목 | 티커 | 비율 |
OBIC | 4684 | 9.68% | NABTESCO | 6268 | 6.70% |
SMC Corp | 6273 | 9.16% | OMRON | 6645 | 6.57% |
키엔스 | 6861 | 8.57% | TOPCON | 7732 | 6.53% |
야스카와전기 | 6506 | 8.53% | JMDC | 4483 | 6.10% |
화낙 | 6954 | 7.13% | CYBERAGENT | 4751 | 5.85% |
로봇 및 AI 업종을 담은 ETF 답게 로봇 강국 일본을 대표하는 다수의 기업들이 ETF안에 포진해 있다. 산업용 로봇 세계 1위 업체인 화낙(6954), 글로벌 감속기 시장 점유율 세계 1위 기업 NABTESCO(나부테스코 6268), 산업용 센싱기술 전문업체 OMRON(옴론 6645), 중장비 로봇 업체 야스카와전기(6506), 공압 등 실린더 전문 회사 SMC Corp(에스엠씨 6273), 스마트 인프라 및 광학렌즈 기업 TOPCON(톱콘 7732)이 대표적으로 속해있다.
또한 일본의 마이크로소프트인 OBIC(오빅크 4684), 일본을 대표하는 혁신의 대명사이자 생산설비 제어 및 머신비전 전문업체 키엔스(6861), 일본인 988만명의 진료비명세서로 헬스케어 관련 빅데이터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JMDC(4483), 일본 블로그 서비스 1위인 아메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CYBERAGENT(사이버에이전트 4751) 등 혁신 기업을 담고 있다.
2638 ETF의 경우에도 일본의 단원주 제도를 피해 최소 100주 단위로 거래를 할 필요가 없어 1주씩도 거래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3. 미국 주식: BOTZ
일본에 이어 글로벌X 미국에서는 선진국 AI 및 로봇 주식을 ETF로 담고 있는 BOTZ를 출시하였다.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로 티커명은 BOTZ이다. 해당 ETF는 시가총액 가중 방식을 반영하고 있어 대형주 비중이 높고, 상대적으로 변동성 또한 낮은 편이다.
BOTZ는 2021년 11월을 최고치로 하락을 거듭하다가 23년 7월 말 올 한 해 증시 고점 당시 반등 후에 재차 하락하고, 현재는 전고점을 향해 트라이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해당 ETF는 2016년 9월 12일에 상장하였고, 2023.10.31.자 기준 순자산 18.8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보수는 연 0.69%로, 추종지수는 Indxx global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thematic index를 따르고 있다. 리밸런싱은 매년 3월 둘째 주 금요일에 이뤄진다.
구성 종목 상위 10종목은 아래와 같다.
종목 | 티커 | 비율 | 종목 | 티커 | 비율 |
엔비디아 | NVDA | 14.83% | Dynatrace Inc | DT | 5.06% |
인튜이티브 서지컬 | ISRG | 9.72% | SMC Corp | 6273 | 4.22% |
ABB | ABBN | 8.47% | Uipath Inc | PATH | 3.92% |
키엔스 | 6861 | 7.53% | 야스카와전기 | 6506 | 3.81% |
화낙 | 6954 | 5.92% | Cognex Corp | CGNX | 3.33% |
BOTZ는 AI, 로봇 산업의 성장 과정에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AI를 활용한 로봇과 자동화 산업에 포커스를 두고 있는데 총 44개의 편입 종목 중에 상위 10개 종목의 점유율은 2023.10.31.자 기준 66.81%를 기록하고 있다.
독특한 점은 앞서 언급한 2638이 편입하고 있는 상위 10개 종목과 겹치는 종목이 존재하는데 키엔스, 화낙, 야스카와전기, SMC 등으로 로봇 분야에서의 일본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높은 위치를 점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AI ETF 답게 GPU 설계와 자율주행 반도체 1위 기업인 엔비디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수술 로봇인 다빈치 로봇으로 유명한 수술용 로봇 제조 기업인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스위스의 산업용 로봇 기업 ABB가 포함되어 있다.
2638 보다 AI 관련 업체가 더욱 포함되어 있는데, AI 기반 데이터 분석 및 클라우드 등 IT 솔루션 제공업체 다이나트레이스(DT), AI를 활용한 지능형 문서 처리 솔루션인 도큐먼트 언더스탠딩을 제공하는 유아이패스(PATH)와 스마트 팩토리 등에 필수적인 3D 센싱 및 머신 비전 제품 공급업체 코그넥스(CGNX)를 편입하고 있다.
BOTZ와 유사한 ETF로 글로벌 로봇산업 지수 개발 및 리서치 전문회사인 ROBO Global이 만든 ROBO(Robo Global Robotics and Automation Index ETF)는 BOTZ와 키엔스, 인튜이티브 서지컬, 화낙, SMC 등을 공유하며 로봇과 AI 산업 관련 종목들로 구성한 ETF지만 BOTZ가 시가총액 가중 평균 방식을 사용하는 반면, 동일 가중 방식으로 기업을 편입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소기업들의 주가 영향력이 더 큰 구조를 가지고 있다.
4. 결론: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이 금리 인하와 결합될 때
2023년까지의 지독하고 힘들었던 금리 인상 사이클이 저물고 2024년부터는 금리 인하 사이클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고금리에서 비롯된 경기 침체 압력으로 인해 금리 인하 시점 전까지 기업들은 막대한 금융 비용을 부담하며 버티는 시기에 돌입하게 된다. 때로는 지속된 고금리를 이겨내지 못하는 기업이 발생할 수도 있어, 2024년에 어쩌면 2023년 보다 더 어려울 수도 있다고 본다.
고물가, 고금리 시기 속에서 기업은 살아남기 위해 지속적인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고, 비용 절감으로도 이어질 것이라 본다. 또한 일본, 한국 등을 비롯한 일부 제조업 강국에서 인구통계학적인 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로 저렴한 비용을 통한 효율적인 생산의 니즈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기에 로봇과 AI ETF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로봇을 통해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누릴 수 있고, 이러한 꿈을 먹는 주식에게는 낮은 금리의 환경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2024년은 금리인하 시기를 저울질하는 연준과 시장 사이의 끊임없는 줄다리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주식시장이 조정을 보일 때 다가오는 미래에 대한 로봇 및 AI ETF에 대한 투자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 위 게시글에 언급된 종목들에 대해서는 매수 또는 투자를 권유하지 않음을 말씀드립니다.
'주식투자 >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는 미국 헬스케어 대표주를 볼 때(한국판 XLV, KODEX 미국 S&P500 헬스케어 ETF) (0) | 2024.01.22 |
---|---|
12월 일본은행(BOJ) 금융정책 결정회의 결과: 정책변경 없다 (1) | 2023.12.24 |
일본주식 2621 최근 동향(2023.09.09.게시글 이후) (3) | 2023.11.29 |
왕관의 무게는 점점 무거워지고(엔비디아 한국투자 증권 리포트 소개) (1) | 2023.11.25 |
글로벌 반도체 기업 실적 점검(TSMC, 키옥시아, AMAT) (1) | 202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