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해외주식

전세계 주요 반도체 밸류체인 기업 4분기 실적 정리(미래에셋 월간 리서치 보고서)

by 창전로의 영웅 2024. 2. 12.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현재까지 실적 발표를 마친 전 세계 주요 반도체 밸류체인 기업의 2023년 4분기 실적을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한다. 정리에는 지난 2월 6일자로 발간된 미래에셋증권 월간리서치 '반도체 2월 투자전략: DRAM 업황 개선과 설비투자에 주목'을 인용하고자 한다.

 

1. 투자전략: DRAM 업황 개선과 설비투자에 주목

 

 1월 주요 반도체 데이터를 먼저 업데이트 해보자면, 2024년 DRAM  수요 Bit growth는 +15.2%(mom +0.2%)로 전망된다. 서버 DRAM이 +17.9% 성장하면서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공급 초과율은 -1.1%로, 메모리 3사 감산 여파로 공급 대비 수요가 초과한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전월 대비 +0.8% 상승하였다. 

 

 계약가격에 경우, 전반적으로 가격 상승시점이 빨라진 점이 유의미하다. 메모리 가격의 상승기에는 상승의 가시성이 높아질수록 이를 선반영 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재고 정상화의 가시성이 커질수록 3분기 이후 가격 상승분을 2분기로 선반영하게 될 것으로 전망한다.

 

 1월 한 달 간 반도체 업종은 시장 수익률을 하회하였다. 4분기 실적 시즌이 임박함에 따라 지난 연말 반도체 업종 주가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던 만큼 리스크를 회피하고자 하는 수급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가격 측면에서 우려와 달리 메모리 3사의 감산이 지속되며 메모리 가격을 지지 및 상승세 이어가고 있고, 비록 보수적인 Capex 투자 이어짐에도 불구하고 DRAM의 선단공정으로의 전환 및 보완투자는 적극적으로 집행될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HBM3E 기준 웨이퍼 Capa 소요량이 DDR5의 두 배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적극적인 보완투자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  주요국 IT 월수출액 업데이트(한국 제외)

 

  12월 기준으로 집계된 주요 국가들의 수출액에서는 전반적으로 yoy 역성장폭이 완화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대만 전자부품 수출액은 159억 달러(yoy -1.1%, mom +8.6%), 일본 반도체 장비 수출액은 4,068억엔(yoy +7.9%, mom+43.6%)을 기록하며 양 국 모두 전월 대비 상승 전환에 성공하였다.

 

 중국의 경우는 12월 전자기기 수출액 976억 달러(yoy -4.9%, mom +0.5%)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하였으나 지난 3년 간 12월 수출액이 모두 1,000억 달러 이상을 기록했던 점을 감안하면 아직까지는 업황 반등 전환까지는 시간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국 IT 및 반도체 수출 지표 / 미래에셋증권

 

3. 대만 반도체 기업 월매출액 업데이트

 

  TSMC의 경우, 아이폰 신세품 출시 효과로 인한 10월 매출액 급증(mom +34.8%) 및 기저에 따라 11월, 12월 mom -14.4% 역성장을 기록하였다. 10월 턴어라운드와 관련해서는 아래 지난 게시글에 밝힌 대로 업황 회복의 가늠자 역할을 TSMC가 했던 만큼 유의미한 시기였다.

https://lordofchangjeon-ro.tistory.com/entry/globalsemiconductorearning3q2023

 

글로벌 반도체 기업 실적 점검(TSMC, 키옥시아, AMAT)

이번 시간에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최근 실적을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한다. 국내 반도체 소부장 기업의 실적 정리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s://lordofchangjeon-ro.tistory.c

lordofchangjeon-ro.tistory.com

TSMC 2024년 1월 실적 발표 / TSMC, 한국투자증권 채민숙 연구원 텔레그램

 

  TSMC의 1월 실적 발표는 다시 11월과 12월의 mom 역성장을 딛고, mom +22.4%, yoy +7.9%로 다시금 증가하였다. 애플 아이폰 15 외에도 엔비디아향 AI 가속기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매출 성장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레거시 DRAM 제조사 Nanya의 경우, 11월 매출액부터 yoy 상승 전환된 이후 2개월 연속 yoy, mom 증가하였다. 12월 들어 가격 인상폭이 컸고, 분기말 출하 효과로 매출액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영향이다. 1월 매출액은 NT$3,061M(yoy +35.9%, mom -3.2%)를 기록하며, mom은 하락 반전하였지만 높아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AP 팹리스 미디어텍의 매출액은 10월 mom +18.7% 증가 이후, 3개월 연속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며 4분기 들어 스마트폰 생산 계획이 상향된 영향으로 추정된다. 대표적인 전통 서버향 부품 공급사인 Aspeed의 12월 매출액은 mom -6.8% 감소하였으나 지난 9월 mom +32% 기록 이후, 4개월 간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1월 매출액도 NT$362M(yoy +64.3%, mom +13.7%) 기록하며 평년 데이터센터 투자기 수준에 임박하였다.

 

대만 주요 반도체 기업 월별 매출액 추이 / 미래에셋증권

 

 대만 업체들의 동향을 총평하면 컨벤셔널(Conventional) 수요의 최소한의 저점은 명확히 벗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연초 재고조정과 맞물려 산업용 및 컨슈머향 부품 수요의 약세는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4. 글로벌 서플라이체인 실적 리뷰

 

4.1 TSMC 실적 주요 포인트

TSMC 5년 월봉 차트 / 야후파이낸스

 

 4분기 매출액은 NT$625.5B(yoy flat, qoq +14.4%), 영업이익 NT$260.2B(yoy -19.9%, qoq +14.1%)을 기록했다. N3 공정 비중 확대(3분기 6% → 4분기 15%)에 따라 ASP가 qoq +8.8%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응용처별로는 스마트폰 및 HPC향 매출액 증가가 주요했다. 

 

1Q24 매출액 가이던스는 US$18.0 ~ 18.8B로 제시했다. 시장 기대치 US$18.1B를 상회하는 수준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향 계절적 감소기(애플 아이폰의 신모델은 통상 3분기에 출시)의 영향을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고성능 컴퓨팅)  관련 수요 강세가 일부 보완할 전망이다. 

 

 N3 공정이 안정화되며 GPM(매출총이익률)과 OPM(영업이익률) 기준 소폭 개선된 수준인 52 ~ 54%, 40 ~ 42%로 각각 제시하였다. 24년 연간으로는 가동률 상승을 전망하며, N3 공정 비중 확대가 GPM 수준을 약 3 ~ 4% 낮출 것으로 예상했다.

 

 동사는 AI 시장 성장률이 매년 50%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며, 2027년까지 AI 프로세서향 매출액 비중이 10% 후반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24년 CoWoS Capa는 두 배로 늘릴 예정이며, 향후 수년간 CAGR +50% 이상의 성장률을 예상했다. 파운드리 시장은 yoy +20%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동사는 평균 시장 성장률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4.2 램리서치(Lam Research, LRCX) 실적 주요 포인트

램리서치 5년 월봉 차트 / 야후 파이낸스

 

  2023년 웨이퍼 시장 총 투자액은 총 $80B 초반대로 추정된다. 이전 전망치 대비 소폭 상향된 수준으로, 중국 내수시장에서 증가한 투자활동 영향으로 보인다. 메모리향 웨이퍼 시장 규모의 경우, yoy -75% 하락한 NAND 투자액의 영향으로 yoy -40% 가량 축소된 한편, 비메모리 웨이퍼 시장의 경우 중국 내 레거시 공정의 확대 영향으로 인하 Mid single % 하락하는 수준에 그쳤다.

 

 DRAM 투자액의 회복은 HBM 관련 증설 및 공정 전환에 기인하며, NAND 투자액 회복의 경우 공정 내 Tech Upgrade에 기인할 것으로 보인다. 식각/증착 시장이 전반적 웨이퍼 시장을 아웃퍼폼 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동사는 어드밴스드 패키지(Advanced Packaging) 내 3D 아키텍처 관련 기술 확보 노력 중에 있다. 이에 2024년 HBM 관련 DRAM 및 패키징 출하량이 yoy +30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ASML의 EUV 장비 대량 발주 소식으로 인해 메모리 업계 내 웨이퍼 도입량 굉장히 낮은 수준에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이 재확인 되었다. 이에 메모리 웨이퍼 큰 폭 업사이드 존재한다는 동사 의견은 유지한다. 노광장비와 식각 및 증착 장비는 보완재 특성을 보유함에 따라 해당 부문 실적 수혜 기대된다. 램리서치의 경우, HBM 핵심 기술인 DRAM Stacking 관련 장비 시장 점유율이 100%에 수렴함에 따라 수혜 독점 가능할 것으로, 메모리 시장 불황 탈출이 본격화되는 추세임을 확인하였다.

 

4.3 ASML 실적 주요 포인트

ASML 5년 월봉 차트 / 야후 파이낸스

 

 순매출액 7.2B 유로 기록하며 가이던스 상회하였다. 설치 완료된 장비의 관리 및 유지보수 사업이 이를 견인하였다. 당분기 출하가 진행된 10개의 EUV 시스템을 비롯해 총 2.3B 유로에 달하는 13개의 EUV 장비 매출이 당 분기에 인식되었다. 전체 시스템 매출 5.7B 유로 중 63%가 로직향 장비에서 발생하는 등 로직향 수요가 시스템 매출의 성장을 견인하였다.

 

 2024년 1분기 매출액은 5.0 ~ 5.5B 유로 수준으로 전망하였다. 다소 보수적인 사업 전망으로, 24년 초반은 업황 회복의 초입인 점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동사는 2024년 로직향 매출이 23년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메모리향 매출의 경우 전년 대비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는데 이는 재고 정상화와 전방 산업 수요 회복에 더해 DDR5, HBM 등 AI 관련 수요 확대에 따른 첨단공정향 메모리 Node Migration이 견인할 것이라 언급하였다.

 

 2024년 가이던스 상향을 위해서는 첫째, 가동률 회복에 달려있다. 업계 전반 가동률 개선세 확인되는 중으로 25년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둘째, 고객사 장비 셋업 동태에 따라 좌우된다. 통상적으로 가동률 상승 전 고객사 장비 업그레이드 수요 대량으로 발생하는데, End-market 수요 회복 동반될 경우 가이던스의 추가 상향이 가능하다.

 

 메모리의 경우, 추가적인 Tech Migration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산업 특성 상 과잉 공급과 수요가 반복되나 동사의 메모리향 장비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EUV 장비는 항상 부족한 상태이다. 다만 신규 제품향 보단 DDR5, HBM 향으로 추가 EUV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장기간 유지될 전망이다.

 

4.4 어드반테스트(6857) 실적 주요 포인트

어드반테스트 5년 월봉 차트 / 야후 파이낸스

 

 NAND 제품의 수요 회복세는 24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되며 테스터 수요 회복세를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고성능 DRAM 향 테스터 제품들의 경우, 조만간 램프업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DRAM 시장은 연중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 동사의 재고는 높은 수준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동사가 고성능 메모리 수요 대응 차원에서 확장한 공급 Capa에 기인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메모리 외 고객사들의 밀어내기 주문 다수 발생함에 따라 재고 수준을 악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4.5 퀄컴(QCOM) 실적 주요 포인트

퀄컴 5년 월봉 차트 / 야후 파이낸스

 

 핸드셋 부문 FY1Q24 매출액은 $6.7B 기록하며 동사 예상치를 상회하였는데 전 분기 대비 35% 이상 증가한 중국 OEM 업체향 매출이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24년 핸드셋 출하량의 경우 전년 대비 유지 혹은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 갤럭시 플래그십 제품에 탑재되는 스냅드래곤(Snapdragon) 제품 관련 다년 계약을 연장하였다. 이에 더해 QTL(Qualcomm Technology Licensing) 사업 부문서 애플, 중국 스마트폰 OEM들과의 25년 만료 예정이었던 주요 라이선스의 장기 계약을 발표하였다.

 

 삼성전자, 구글과의 파트너십 구축에 동사의 스냅드래곤 X35 제품이 해당 기업들의 XR 디바이스에 탑재가 될 예정이다. 해당 제품들은 24년 상반기 출시가 예상되며 특히 갤럭시 제품에는 스냅드래곤 XR2+ Gen2 제품이 탑재될 예정이다.

 

4.6 인텔(INTC) 실적 주요 포인트

인텔 5년 월봉 차트 / 야후 파이낸스

 

 Intel 3 공정 기반 Sierra Forst는 24년 상반기 출시 예정이며, 출시 직후 Granite Rapids 출시가 예정되어있다. 동사의 신규 제품 라인업에도 불구하고 24년 1분기 실적의 계절성 영향이 지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통상적으로 4분기에서 1분기로 넘어가며 발생하는 계절성 매출 하락폭은 3 ~ 20% 정도이며, 4분기 실적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로 하락폭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동사 제품 라인업, 재고 건전성 등 감안 시 핵심 사업들의 실적 개선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클라우드 및 서버 산업의 24년 1분기 전망은 서버향 고객사로부터 수요 강세가 확인되고 있다. 실제로 OEM 업체들 기업향 서버 산업 성장세에 따른 적극적 협업 동태 보이고 있으며, 이에 동사 4세대, 5세대 제품들을 비롯한 신규 라인업의 실적 수혜가 예상된다.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의 경우, AI Training 관련 인프라 조성에 집중하고 있다. 조만간 High-end AI 훈련에서 동사 주력 제품들이 다수 포진된 AI 추론 시장으로 시장 이동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동사 수혜가 기대되며 최근 OEM 고객사들로부터 기업 고객들 온디바이스 AI(On-Premise AI, On-Device AI) 도입 본격화 동태 확인되었다. 

 

5. 결론 : AI 위주의 차별적인 반도체 업황 회복 전망

 

 최근 반도체 업종의 주가 조정은 실적 시즌 임박함에 따른 리스크 회피 경향도 있지만, 첫째, 1분기 계절적 수요 조정에 대한 우려의 선반영과 둘째, 칩메이커들의 전략 방향성이 비관적으로 해석되었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와 인텔의 1분기 가이던스가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제시한 보수적인 공급 기조는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가 지배적인 국면에서 실망감과 상승 모멘텀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판단된다.

 

 글로벌 주요 하이퍼스케일러가 제시한 투자기조는 시장의 기대를 상회하고 있다. 아마존의 경우, 24년에도 AWS 주도하에 인프라 Capex 투자 확대, 생성형 AI와 LLM에 대한 투자도 병행될 것으로 언급하였다. 메타의 경우, 24년 말까지 엔비이다의 H100 GPU 35만개 확보 계획을 포함한 총 60만개 규모의 H100 GPU 보유 계획을 밝혔다.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각각 24년과 다음 분기 Capex 증액에 대한 비전을 밝히며 글로벌 수요의 둔화 우려 속에서도 AI와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시장조사기관의 세트 수요 전망치의 상향 조정은 제한적이었다. 스마트폰 +3%, PC +3%, 서버 +2% 수준이다. DRAM 업황의 개선 가시화됨에 따라 DRAM 설비 투자 집행될 것으로 보인다. 메모리 제조사들은 신규 웨이퍼 Capa 투입 보다는 공정 미세화(Tech Migration, Tech-Upgrade) 위주의 투자를 우선적으로 진행할 것임을 언급하고 있다.

 

 1월 메모리 계약가격을 기점으로 메모리 가격 상승시점이 앞당겨졌다. 메모리 가격 상승기에는 상승의 가시성이 높아질 수록 이를 선반영 하는 경향이 강한데, 2분기 전후 데이터센터의 메모리 재고조정이 막바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위 게시글에 언급된 종목에 대해서는 매수 또는 매도를 권유하거나 추천하지 않음을 말씀드립니다.

 

 

 

반응형